‘가득찬 보훈밥상’ 운동은 지난 6월, 생활고로 반찬을 훔친 6·25참전용사 사건이 계기가 돼 추진된 것. 이에 따라 지난 9월 부산지역 봉사단체인 부산연탄은행 주관으로 제1호점이 부산 동구 부산보훈회관(초량동) 2층 식당에 개점한 후 매주 금요일에 국가유공자들에게 점심 도시락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부산에 이어 서울지역에 제2호점으로 밥퍼를 선정해 국가유공자들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최일도 목사는 6·25전쟁 켈로부대 산하 8240부대 대대장 출신 참전유공자 故 최희화 씨 아들이다. 켈로부대는 비정규군으로 참전 사실 자료가 없어 ‘이름없는 영웅’으로 불렸으나, 정전 60주년을 맞아 공개된 기록물을 통해 공로가 알려지게 됐으며, 故 최희화 대대장은 6·25 전쟁 당시 첩보부대의 대대장으로 활동했던 공로를 인정받아 켈로부대원 최초로 2013년 화랑무공훈장을 받았다.
더불어 이날 국가보훈부는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을 비롯해 (사)다일복지재단 최일도 목사, 보훈대상자 및 자원봉사자(MZ 보훈공무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득찬 보훈밥상’ 2호점 개시 행사를 계획했다.
하지만 국가유공자 예우를 노숙인이 무료로 이용하는 밥퍼를 통해 식사를 제공한다는 국가보훈부 소식에 인근 지역주민들은 반대의 의견을 내비쳤다.
주민들은 “밥퍼는 노숙인들을 위한 시설로 관내 독거어르신 식사도 거부하는 곳이다. 하물며 국가를 위해 헌신을 다한 국가유공자를 노숙인들과 같은 예우를 해야 하나?”, “최근 밥퍼가 불법 증축으로 철거 위기에 놓이자 국가유공자 식사 지원으로 반전을 꾀하는 모습”, “어차피 노숙인은 물론 아무나 가서 무료로 먹을 수 있는 곳인데, 철거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국가유공자를 유치한다는 것으로 밖에 볼수 없다”, “국가유공자 대부분이 고령인데 부산과 같이 도시락으로 배달해 드려야 한다” 등의 부정적인 의견들이었다.
또한 국가유공자 자녀라고 밝힌 이는 “왜 불법점유지에 최일도 목사 개인이 후원금 받아 운영하는 곳에서 식사 대접하나? 국가유공자가 노숙자인가? 떳떳하게 보훈처나 국가기관이 정식으로 운영하는 곳을 지정해 제대로 대접하라, 아니면 필요 없다. 명예에 큰 상처를 받았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국가보훈부는 이날 행사를 취소한 것에 대해 “국가유공자들에게 직접 거주지로 밥상을 전달하거나,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 장소 등 협의할 사항이 남아 일정이 순연된 것”이라며 “실무 논의가 확정되는 대로 행사는 진행될 예정”이라고 언론을 통해 알렸지만, 당초 ‘가득찬 보훈밥상’ 제2호점 서울지역 장소를 밥퍼로 보도자료를 통해 알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날 2호점 개시 행사 취소는 국가유공자 식사 지원 반대 여론 때문이라는 중론이다.
한편 최일도 목사가 이사장인 (사)다일복지재단의 ‘밥퍼’는 1988년 답십리굴다리 지하차도(전농동 588-1)에서 최 목사가 배고픈 노숙인에게 라면을 끓여주는 활동으로 시작돼 지금에 이르고 있다. 이어 밥퍼는 선거철만 되면 대선·총선 후보 및 정치인들이 노숙인들에게 봉사활동 하는 사진 촬영명소로 유명세를 쌓았다.
하지만 밥퍼는 2021년 서울시 건축허가와 건물 기부채납을 약속하고 토지사용승락을 받고 증축허가를 받았지만 증축이 아닌 무단 신축을 추진해, 2022년 7월 동대문구가 불법건축물로 규정하고 12월 12일 2억 8,8328만 4,500원의 이행강제금 부과와 철거명령까지 통보했다. 이에 사회복지법인 다일복지재단(밥퍼)은 구의 이행강제금과 철거명령이 부당하고 억울하다며 법원에 구청을 상대로 올해 1월 2일 시정명령처분취소 소송을 제기했고, 현재 서울행정법원 제5부에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구는 현재까지 건축물 시정명령을 따르지 않아 올해 말에도 다시 건축이행강제금을 부과한다는 방침이다.